후대의 수용적 입장이 '사회신조'의 가치 결정

후대의 수용적 입장이 '사회신조'의 가치 결정

NCCK 한국기독교사회운동사 제4차 학술심포지엄

임성국 기자 limsk@pckworld.com
2022년 09월 15일(목) 17:58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이홍정)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원장:김영주)이 14일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사회신조 채택 90주년의 역사적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한국기독교사회운동사 제4차 학술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했다. 심포지엄에서는 1932년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가 채택했지만, 주목받지 못한 '사회신조'에 대한 역사적 의미를 조명했다.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는 1932년 △인류의 권리와 기회 평균 △인류 급 민족의 무차별 대우 △혼인 신성, 정조에 남녀 동등 책임 △아동의 인격존중, 소년 노동의 금지 △여자의 교육 급 지위 향상 △공창 폐지, 금주 촉진 △노동자 교육, 노동시간 축소 △생산 급 소비에 관한 협동조합의 설치 △용인 피용인간에 협동조합 기관의 설치 △소득세 급 상속세의 고율적 누진법의 제정 △최저임금법, 소작법, 사회 보험법의 제정 △일요일 공휴법의 제정, 보건에 관한 입법 급 시설 등의 12개 조의 사회신조를 천명했다.

심포지엄에서 발제한 강혁 박사(장신대)는 '사회신조를 통해 본 1970년대 이후 한국 개신교 사회운동의 의미와 과제'에 대해 "사회신조가 특정 교파나 진영의 신조가 아닌 한국 기독교를 대표하는 연합협의회의 신조로서 지난 90여 년 역사 안에서 사회개혁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라며, "1932년 연합공의회의 사회신조는 그 시대뿐 아니라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 기독교의 사회개혁운동에 방향을 제시해주고, 실천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은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강 박사는 한국 개신교가 사회운동의 뿌리가 약해 사회운동 유산을 계승할 후세대를 양육하지 못했고, 진보적 기독교 진영의 도덕적 우월성의 과시 역시 새로운 미래에 자칫 독으로 작용할 염려가 크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강혁 박사는 "지난 90여 년간의 한국 개신교 사회 운동의 빛나는 성과는 보수 혹은 진보로 나뉘는 한 진영의 열매가 아니다"라며 "이는 한국교회 전체의 사역이었고, 한국교회에 주어졌던 시대적 사명이었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최경석 교수(남서울대학교)는 사회신조를 사회문제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남아있는 윤리적 자기만족의 문서로 규정했다. 그는 "(사회신조는)자신만의 선언, 자기만족이었다"고 평가하며, "우리 사회와 후대에 영향을 끼치진 못했다"고 진단했다. 또 "사회신조는 당시 사회적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파악을 했다고 하지만 천명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라며, "물론 시대가 그 행동의 결실을 맺기 어려웠지만 결과물인 행동은 전무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손승호 박사(한국기독교역사문화재단)는 논찬에서 "우리는 사회신조 자체가 운동 강령이 아니라 신앙고백이자 교회의 기본 입장을 천명하는 신학적 언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사회신조가 의미가 있느냐, 없느냐는 당대가 아닌 후대에 달려 있기에 우리가 사회신조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는 사회신조의 가치를 결정한다. 그 정신과 활용가능한 지점들을 어떻게든 오늘의 운동에 접목하고, 주어지는 비판과 공격에 대한 변증으로 활용할 때 의미 있는 선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임성국 기자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