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국교회 무엇을 해야 하나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국교회 무엇을 해야 하나

[ 해설 ] 교파와 보수 진보 아우르는 평화통일 논의 할 때

박만서 기자
2018년 05월 02일(수) 17:41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의 북한방문으로 처음 열린 남북정상회담과 2007년 남북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을 방문했던 노무현 대통령 이후, 남북한 정상이 11년 만에 분단의 현장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남측 평화의 집에서 세 번째 남북 정상회담이 지난 4월 27일 열렸다. 2018년 1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신년사에서,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에 참여 의사가 있음을 발표할 때까지만 해도 한반도 내는 물론이고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사회는 북한과의 얼어붙은 관계를 풀 수 있는 기류가 보이지 않았다. 당시의 분위기는 일촉즉발의 상태였으며, 말 그대로 전혀 앞이 보이지 않는 짙은 안갯속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열린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남북간의 고위급 회담과 남북한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북한 응원단과 예술단의 방남 등으로 이어지면서 남북 관계를 가리고 있던 안개가 서서히 걷히면서 실낱같은 대화의 물줄기를 이어갔고, 급기야 정상회담까지 도달했다. 뿐만 아니라 남북 문제와 국제적으로 고립된 북한의 경제 제재 등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연이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대화와 화해 분위기에 대해 기독교계는 전반적으로 환영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서도 남북간의 분위기에 따라 북한 구호 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왔던 기독교계는 한편 기대와 함께 앞으로 조심스럽게 진행될 과정과 결과를 전망하는 분위기 이다.

기독교계는 통일에 대한 논의를 금기시 해왔던 1980년대부터 평화통일을 주제로 연구하고, 국제 에큐메니칼 기구 등이 주최하는 국제 회의에 참여해 왔다. 일본 도잔소에서 열린 도잔소회의와 스위스에 열린 글리온 회의가 한반도 통일을 주제로 열린 기독교계 통일 운동의 중요한 회의이다. 이러한 자리에서 한국교회는 북한의 기독교 관계자들과 만남을 가졌다. 또 회의는 1988년 발표된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의 선언'으로 이어졌으며, 해방 50주년을 맞이하는 1995년을 평화통일을 위한 희년으로 선언하고 이를 준비하기도 했다. 그러나 평화통일 운동으로 시작된 1995년 희년은 기독교계내의 정치적인 변화로 인해 희년으로 선포된 1995년을 2년 앞두고 서울에서부터 임진각까지 평화통일을 위한 인간띠 잇기 행사를 진행하는 수준에서 사실상 마무리했다.

이후 1995년에 북한에서 발생한 대홍수로 인해 북한주민들을 돕기 위한 구호 활동으로 기독교계 대북 정책이 선회했다. 이전까지는 주로 평화통일에 대한 정책을 논의하는 단계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를 중심으로 진행된 북한교회 재건 운동이 한국기독교계의 대북 관려한 내용이었다. 북한의 대홍수 이후에 한국교회는 보수와 진보 관계 없이 북한 주민 구호활동을 앞다투어 전개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단순하게 식량 지원에서 벗어나 원료를 지원해서 꾸준히 먹거리를 생산 할 수 있도록 하는 빵공장 설립, 농업기술 전수, 어린아이들을 위한 유아식과 용품 지원 등으로 보다 구체화 되었으며, 이미 한국교회의 지원으로 설립됐던 봉수교회 재건축 등이 진행됐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남북관계가 냉전 관계로 접어들면서 전면 중단되었다. 진보 진영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면 평화통일 정책 논의도 소원해 졌다. 단지 일부 진보진영에서 제기한 정전협정을 평화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던 반면, 보수권이 이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낸 것이 최근에 있었던 대북관련 한국교회의 이슈이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선 탈북민(새터민)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다.

대북ㆍ평화통일과 관련해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는 3가지 방향에서 정책을 전개해 왔다. 평화통일과 관련한 정책을 연구하기 위한 남북한선교통일위원회(제81회 총회에서 남북한선교협력위원회와 평화통일위원회가 통합 운영)의 활동과, 북한에 농업기술을 전수하기 위한 농어촌부(이후 국내선교부를 거쳐 현, 농어촌선교부 업무)의 사업(농업용 비닐 지원, 농기구 지원 등), 북한의 구호활동을 담당했던 사회봉사부의 사업(식량지원과 유아용 분유 보내지 등) 등이다. 이밖에 남선교회전국연합회를 중심으로 북한에 봉수교회 건축을 지원하는 사업도 진행됐다. 그러나 이 사업들이 현재는 전면 중단상태에 있다.

결국 이번 남북한정상회담으로 기대되는 북한 제재 조치가 완화되면 예장 총회는 지금까지 활발하게 전개해 온 대북 정책을 재 가동하는 것이 급선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발표된 판문점선언을 신호탄으로, 이미 다른 민간단체들 보다 앞서서 평화통일을 주장한 경험이 있는 한국교회는 평화통일과 관련 연구와 대화 등을 재촉해야 할 것이다.

첫 번째 발걸음은 민간차원의 평화통일 운동을 확산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교계 내의 평화통일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해야 한다. 교파를 넘어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평화통일 논의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북한과 민간 차원의 교류이다. 한국교회는 1995년 희년을 준비하는 시기를 전후해서 대북관계 창구일원화를 강조하며, 보수와 진보를 함께 아우르는 '평화통일을 위한 남북나눔운동본부'를 발족해서 활발하게 활동한 바 있다. 1990년대 후반 대북 구호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던 때에 한국교회는 구호 활동의 구호를 '나눔'으로 선포하고 남북한의 상생을 강조해 왔다. 경제적 교류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같은 운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 전체가 참여하는 대북 정책이 만들어 져야 한다.

셋째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국가들의 국제 협력관계를 엮어내는 일이다. 이미 한국교회는 미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의 교회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에 북한의 조선그리스도연맹과는 1980년대 이후 지속적인 관계를 가져 왔다. 이번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회담에 이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북한과 주변국간의 1:1 회담에 이어 4자간, 6자간 회담을 통해 한반도 정세를 풀어 가게 될 것이다. 이와 함께 보조를 맞춰 한국교회는 주변국의 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통해 남북 평화통일을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교회가 참여하는 4자회담 6자회담도 구상해야 한다.

이밖에도 민간 차원에서 비무장지대의 평화공원 조성, 북한 교회 재건 활동 등도 하나하나 점검하는 일고 한국교회 앞에 놓여 있는 풀어야 할 과제이다. 여기에 통일의 역군으로 주목을 받는 탈북민에 대한 관심도 높여야 할 것이다.

예장 총회장 최기학 목사 또한 담화문을 통해 남북한 교회의 교류와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 교회와의 관계를 강조하며, "한국교회는 세계교회의 협조 아래에 1984년 도산소 회의를 필두로 하여 남북 기독인의 교류와 평화통일, 대북 인도적 지원, 더불어 탈북 새터민을 위해서 노력해 왔다"면서 "앞으로 남북 간에 평화가 정착되고 인권이 신장되며 궁극적으로 통일을 이루도록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말하며 한국교회 앞에 놓여진 평화통일를 향한 과제를 강조했다.

박만서 mspark@pckworld.com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