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자연재해를 극복하라 ② 교단 차원의 재해구호

교회, 자연재해를 극복하라 ② 교단 차원의 재해구호

[ 특집 ] "매뉴얼 중심 체계적 구호시스템 갖춰"

이명숙 목사
2017년 12월 27일(수) 09:48

이명숙 목사
총회 사회봉사부 재해구호 담당

포항 지진 피해 복구에 정부와 구호단체들이 발벗고 나선 가운데 교회들도 피해지역을 돕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도 지역 노회와 연계해 현장을 방문하고 지원대책을 수립하는 등 발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특히 총회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구호를 위해 마련한 '국내재해구호지침'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100주년기념백서를 위해 총회 회의록(제1회~102회)를 기초자료로 하여 총회의 사회봉사 사업과 정책을 조사 연구한 적이 있다. 이러한 조사와 연구를 바탕으로 이 글은 재난이 빈번해진 오늘날 시대적 상황 속에 총회의 재해구호 사업을 재조명하고 효율적인 구호를 위한 정책적 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1912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가 창립된 이후 총회의 구호사업은 1913년(제2회) 목사와가족구조위원 조직과 1914년 목사와가족구조국의 설치, 1915년 평남노회지역의 수해구호를 위한 수재구제위원조직으로 시작된다. 1930년(제19회)부터 구제부 보고가 시작되었는데 이것은 1963년 사회부 보고로 연결되어진다. 1931년 구제부는 중국의 대참사 수재 이재민과 재만동포를 위해 전국모금을 결정하고 구제위원을 각 노회의 노회장으로 결의하였다.

또한 1931년 총회시에는 평북 벽동에 사는 김인명 이란 여자가 요리점으로 팔려 가는 것을 구하기 위해 총회석상에서 헌금을 하기도 하였다. 1932년에는 각 노회에 구제부를 설치하도록 독려하였으며, 1936년 총회에서 10월 둘째 주를 구제부 주일로 결의하였다. 1938년부터는 함남노회의 수재구제청원, 경북노회 한재청원, 순천노회 화해청원 등의 본격적인 노회의 재해청원이 시작되었다.

1948년(제34회)에 총회는 중국 만주지역에서 목회하던 목회자들이 중국공산당의 박해를 피해서 남한으로 온 피난민 목회자들을 구제하였으며, 1949년(제35회)에는 제주노회, 제주 4ㆍ3 사태에 대한 구호를 결의하였으며, 1952년에는 한경직 목사를 통한 구제품이 뉴질랜드와 일본교회로부터 와서 피난민 교역자(목사, 전도사 500여 명), 세대(2,001명), 유가족(105세대)를 구제하였다. 이 구제를 위한 지원본부는 부산에 있었으며 제주도(이환수), 거제도(이태양), 백령도(박성겸), 목포(김은석), 군산(송영호)을 지부로 두어 전시구제사업을 실시하였다.

전시구제사업은 미국북장로교 선교부와 캐나다선교부가 협력하였고 미국남장로교 선교부와 호주선교부가 사안에 따라 협력하였고 기독교세계봉사회의 원조도 있었다. 1954년 구제부 위원 대신 전시위원이 활동을 하였으며 전쟁으로 인한 유가족을 돕기 위해 제봉침 한 대와 3개월의 생활보조금을 25명에게 제공하였다. 이 시기에 구체적인 구호사업을 위해 1954년 이 아담스 선교사는 자선사업재단을 설립하여 본격적인 구호사업을 시행하였는데 이 재단이 현재 한국장로교복지재단의 전신이다.

1941년 총회는 목사가족구제부가 폐지되고 은급부를 조직하였다. 1957년(42회기) 70세 이상의 목회자에게 은급금을 지원하였으며 1961년 은급금운용위원회를 조직하여 목회자구호를 위한 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이 조직이 현재 총회연금재단의 전신이다. 

1961년 총회는 총대들을 위원으로 한 사회부를 조직하였으며 1963년(48회 총회)에는 총회석상에서 은급위원, 구제위원, 농촌위원으로 구성된 사회부 보고가 시작되었다. 1972년(57회)에 사회부 실행위원회가 조직되고 1978년(63회) 사회부는 상설부서가 되어 본격적인 구호사업을 시행하였다.

1978년(63회) 총회에서는 재해구제와 은급사업을 위하여 매년 3월 첫째주일을 사회봉사부일로 정하고 전국교회가 헌금하기로 결의하였다. 1980년대에는 영산강유역인 벌교, 순천, 여수, 부여, 광주, 진주에 연례적인 수해가 발생하여 해마다 구호하였다. 1990년(75회)에는 수해 등 전국적인 규모의 재해에 대한 교회의 구호헌금 총회 사회부로 단일창구화하기로 결의하였다. 

총회 사회봉사부의 해외구호사업은 1931년의 중국수재민과 재만동포 구호가 있었으나 본격적인 시작은 1983년 레바논, 1984년 에티오피아 난민구호를 시작으로 하여 세계에서 일어나는 피해가 큰 자연재해에 대해 꾸준하게 구호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북한구호사업 또한 1994년(79회) 북한교회 재건을 시작으로 옥수수, 밀가루, 결핵검진, 옷 보내기, 못자리용비닐, 시설지원, 콩두유, 수해지원 등 꾸준한 구호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총회는 100여 년의 구호사업을 통해 2008년(92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국내재해구호지침'과 2011년(96회)에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해외재해구호지침'을 총회의 정책지침으로 결의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구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총회의 재해구호사업의 정책적 방향은 구호사업의 전문성 확충이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구호관련 전문 단체들과 에큐메니칼 단체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문적 역량을 키워야 한다. 또한 재해 시 종교가 담당해야 하는 구호는 일반구호단체들의 활동과는 차별된 종교만이 할 수 있는 구호영역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총회 사회봉사부는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재난 심리지원과 응급처치 방안을 교육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부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재해구호를 위한 방안으로 민ㆍ관 주체들의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거버넌스'의 활용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은 현장밀착형 주민조직인 반상회 단위로 본인의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며 지방정부와 협력하여 민ㆍ관 협력 거버넌스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일본은 주민 스스로 서로 비상연락망을 만들고 공동 대피소를 관리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지역자율방재단처럼 기초자치 단체 별로 주민참여제도를 더욱 활발히 육성해야 하며, 지역 내 민간단체들(마을만들기 단체나 지역기업, 사회적기업 등)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역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간에 서로 관리할 수 있도록 소규모 마을공동체 단위의 구호 및 방재훈련이나 지침을 구상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총회의 마을목회운동은 재해구호활동의 현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