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명 모이는 회의 시스템, 원활한 회의 막는 최대 걸림돌

1500명 모이는 회의 시스템, 원활한 회의 막는 최대 걸림돌

[ 교단 ] 총회 개혁과제를 진단한다 <회의, 잘하면 약! 못하면 독!>

한국기독공보 webmaster@pckworld.com
2017년 02월 06일(월) 15:52

2. 더는 늦출 수 없는 회의 효율화

"주인이 되기보다 관망하는 구경꾼이 되기 쉬운 회의가 우리 총회의 회의 구조입니다. 힘깨나 쓰고 정치력 좀 있다는 목소리 큰 목사 장로들을 위한 무대인 것 같아서 씁쓸하기도 하죠.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 소수의 의견까지도 존중하는 진정한 회의가 되기 위해서는 큰 변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총대부터 감축해야 하지 않을까요?" (101회 총대 A목사)

#1500명 회의? 가당치도 않은 일
지난 101회 총회 총대로 참석한 A목사는 총회 회의의 문제점을 거침없이 지적했다. 민주적이고 원활한 회의를 위해선 1500명에 이르는 총대 수는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내다봤다. 사실 총회의 시스템상 대규모 인원이 회의를 진행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협의와 논의는 부족하고, 일부 소수 총대의 설득과 주장에 따라 주요 안건이 좌지우지되기도 한다. 이 같은 문제의 발단은 총회 선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총회 회의의 가장 큰 비중이 부총회장 선거에만 집중되면서 선거 후 꾸준히 빈자리가 늘어나는 모양새는 우리 총회의 구조적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실제 총대들이 총회의 정책과 안건보다는 총회장 선거에 모든 관심이 집중돼 회의의 집중도도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지난 101회 총회 마지막 회무처리시에도 성수 부족으로 중요한 안건처리가 어려움을 겪으며 총회 회의 구조의 결정적인 문제점을 노출했다.

이와 관련, K총대는 "총회 회의가 신학, 정체성 정립을 위한 논의보다는 정치적 분규, 재판 사건 등에 시간 대부분을 소모해 일정에 쫓겨 마치 국회가 폐회를 앞두고 무더기로 안건을 처리하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게된다. 또 회의 막바지에는 개회 성수가 안돼 규칙과 관련된 안건을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 총회 회의의 현주소"라고 진단했다. 결국 모든 총대가 회의에 참여하고 의결하는 시스템은 현재로써는 우리 총회가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회의제도 개선, 대안은?
과거 총회는 세례교인 1000명당 목사, 장로 각 1인을 파송하면서 총대 수를 조정했다. 특별히 1970~80년대에 이르러 교세가 급성장 하면서 총회는 총대 수를 제한하기 시작했고, 긴급조치로 총대 1500명을 상한선으로 못 박았다. 과거와 현재, 총회 총대 당사자들로부터 총대가 많다는 지적이 지속되고 있지만, 세례교인에 비례해 총대 수를 산출하던 과거의 방식으로 1500명의 대규모 인원으로 고정되면서 총대 감축은 더욱 어려운 과제 중의 하나가 됐다. 특별히 교단 내 정치 과잉으로 총회 기구가 비대해지고, 총회 후 총대들의 역할과 전문성이 다양하게 요구되면서 총대 감소를 포함해 기구 축소 등의 문제 해결은 더욱 어려워졌다.

이와 관련 과거 총회기구개혁위원회는 총회 회의제도의 개선을 위해 '대회제'를 제안하기도 했다. 현재 1500명의 총대로는 효율적인 회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결국 대회제를 통해 정치력을 지역으로 분산하고, 전국교회를 돌보는 방향을 설정했다. 그리고 총회가 정치적인 부분을 약화하기 위해 '총회총대총량제' 도입 등에 대한 시스템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구 기구개혁위원회의 전 위원은 "총회가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1500명의 총대들이 1박 2일간 축제를 하고 가을에는 한 노회에서 2~3명이 모여 회의를 하도록 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 다른 위원은 "회의 개혁의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고 있다. 총대들이 주요 안건과 개혁안은 미리 숙지하고 총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사전에 배포해야 한다. 그리고 회의가 정치적으로 휩쓸리지 않도록 주인의식을 가지고 참석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논의와 연구, 주장은 계속되고 있지만 총회 구조상 완전한 개혁은 어려운 실정이다.

#총회 회의의 문제점, 노회와 교회도 가지고 있다.
어느 집단, 한 공동체에서 상이한 의견을 통일된 의견으로 도출하는 방법에 있어 '회의'는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방법이다. 민주적이며 원활한 진행으로 이뤄진 회의는 민주주의 실천의 근본이다. 하지만 실제 총회, 노회, 교회의 회의 구조와 방식은 보완해야 할 부분이 상당히 많다. 특별히 회의의 꽃인 선거 문제로 총회와 노회, 그리고 교회마저 몸살을 앓고 있다. 노회의 총대 선거, 노회의 임원 선거, 개 교회의 중직자 선거 등의 문제는 이후 관련 단체의 회의가 파행을 겪거나 갈등이 양산되는 가장 큰 요소가 됐다.

결국 모든 회의는 선거 이후에도 회의의 의장 및 회의 진행 관계자의 공정성, 중립성이 요구되고, 회의 일정에 대한 점검 및 시간 분배 등 회의 진행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또 투명하고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해서는 안건별 연계성을 유지하고, 회의 구성원을 확대해 회의의 질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회의의 용어 순화도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손꼽힌다.

한국교회 회의와 관련해 한 기독청년은 "한국교회의 회의 구조는 전혀 민주적이지 않다. 목사 장로, 주요 직분자들의 독단적인 결정 방식으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며,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하고, 더 민주적인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여전도회 관계자는 총회 회의와 관련해 "총회 시 총대들은 선거만 끝나면 자리를 비운다. 여성들은 방청석에서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사실 총회에서 배울 것이 없다고 느꼈다. 발언하는 분들도 하는 분만 계속 한다. 사실 정책을 수립해야 할 사람들은 총대로 참석하지도 못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K총대는 "노회별로 청년 남녀 각 1명씩을 정기 총회에 파송하여 총회를 참관하도록 하는 것은 총회 회무를 효율화할 것이며 총대들의 이석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총회는 총대 축소뿐만 아니라 여성, 청년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구조를 조속히 만들어야 한다"고 전했다.

한국교회, 특별히 총회의 회의는 총대를 비롯한 기구 축소, 다양한 목소리 청취 등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문제 개선에 앞서 현장에 있는 구성원의 태도와 관심이 회의의 성패를 좌우하는 큰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역시나 문제는 회의에 참석하는 사람이다. / 특별 기획팀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