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실주의 인사제도 극복하자

정실주의 인사제도 극복하자

[ 사설 ] 사설

한국기독공보 webmaster@pckworld.com
2015년 04월 01일(수) 10:42

어렵게 총회 허락을 받은 총회 농어촌부의 독립을 농어촌 지역 선교권 강화의 계기로 삼아야 함에도 총무인선 때문에 발목이 잡혀 있다. 총어촌 선교를 위한 사기앙양이라는 부서 목적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일이다. 총회 각 부서, 기관 단체 심지어 교회의 인사까지도 정실주의 인사 때문에 생긴 잡음은 끊이지 않고 있다. 정실주의란 사람을 공직에 임용함에 있어 실적 이외의 요인, 즉 정치적 요인뿐만 아니라 혈연, 지연, 학연 등 개인적인 친분, 기타의 온정관계 등을 기준으로 행하는 인사제도를 말한다.

세계경제포럼이 세계 104개국을 대상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정부 관료의 정실주의의 정도가 39위에 머물러 있어 중하위권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공직을 혈연, 지연, 학연, 금력, 친분, 당파성 등 비공식적이고 인연이나 인맥에 의한 기준에 의해 인적 자원을 선임하는 경향이 정부든 교회든 팽배하다는 뜻이다.

정실주의는 건강한 총회, 건강한 교회를 헤치는 폐해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정실주의 인사는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인재 등용이 아니기 때문에 비리문제과 매관매직으로 연결된다. 권력보유자의 심리적 안정이나 특정 계파나 특정인의 정치권력적 기반의 보장은 가능할지 모르나 효율성 저하로 총회의 공익은 당연히 훼손될 수밖에 없다. 정실주의의 게임에서 패배한 세력과의 끝없는 대립과 갈등으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진하기 때문이다.

반면 실적주의 인사제도는 정실주의와 엽관제도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로 개인의 능력, 자격, 실적에 의해 선임하는 인사제도이며, 이미 19세기 이후 일반화된지 이미 오래이다. 인사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 모두가 각각 정실주의의 달콤한 유혹에서 탈피하려는 강한 의지와 순전한 신앙적 인격이 구비될 때 정실주의 인사에서 탈피하여 우리 총회나 기관단체, 교회도 실적주의 인사제도를 정착시킬 수 있다.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사회, 전문화된 사회이다. 우수한 인력,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겸비된 전문인, 영적으로 우수한 자질을 가진 인재를 등용시켜 진취적인 조직을 위한다면 자기감정을 우상시하는 낡은 정실주의를 과감히 던져버리는 심리적 변혁이 절실히 요구된다.

카드 뉴스
많이 보는 기사
오늘의 가정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