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대 수 축소, 선진 총회를 향한 첩경이다

[ 2월특집 ] 총회 총대 수 축소, 해법을 찾다 4. 총회 총대 수 축소를 통한 기대

신영균 목사
2023년 02월 17일(금) 11:11
1973년 출간한 슈마허(E.F. Schumacher)의 대표작 '작은 것이 아름답다'를 필두로 정부 차원에서는 '작은정부론', 민간조직에서는 '조직의 축소'가 조직개혁의 이슈로 대두되었다. 이 책에서 슈마허는 "거대 기술이 반인간적인 것처럼 거대 조직 또한 반인간적이다"라고 강변하였다. 이 때부터 공사조직은 모두 '작으나 강한 조직'으로 변신하기 시작하였다.

우리 총회는 20년 전 제87회 총회에서부터 매년 50명씩 총대 수를 낮추어 총대 수를 1000명으로 낮추는 결의를 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그 당시 한국기독공보 기사를 보면 "수십 년 동안 총대 수 축소에 대한 헌의안이 상정되었지만 그 때마다 좌절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라고 적시하고 있다. 결국 우리 총회의 총대 수 축소는 총회의 해묵은 미해결 과제로 수십 년간 공회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 19 이후 총회 총대의 축소가 다시 이슈로 부각된 것은, 이제는 능률적인 총회로 시급히 변신하지 않으면 고비용 저효율 총회로 전락하고, 총회의 건강한 정책실현에 장애를 촉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많은 조직개혁학자 중에서도 스탠버리와 톰슨(Stanbury and Thompson)이 우리 총회 총대 축소의 당위성에 적합한 주장을 하고 있다고 본다. 그는 조직 축소가 경제적 능률, 기능적 개혁, 정책 추진력, 부정부패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이론에 우리 총회의 현실을 조명해 보면 총회 총대의 축소가 곧 선진 총회를 향한 첩경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경제적 능률을 더 높이는 총회를 기대할 수 있다. 1994년 79회 총회에서 총 1906명이던 총대 수를 1996년 81회 총회부터 1500명으로 축소하였다. 하지만 그 이후 약 30년 가까이 지속된 1500명 총대 수는 이루 말할 수 없는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매년 총회 회의가 개최될 때마다 소요되는 각종 선거 비용, 회비운영비, 회의 자료제작비, 가방제작비뿐만 아니라 숙박비, 교통비, 식사 및 간식비 등에 낭비적 요소가 너무 많다 그러므로 총대 수 축소가 총회의 경제적 능률을 더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기능적 개혁을 실현하는 총회를 기대할 수 있다. 우리 총회는 기능적인 개혁을 강도 높게 추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미 지난 105회기 총회를 기점으로 총회 본부 조직은 10명의 총무를 5명의 총무로, 직원 수 역시 대폭 축소하여 50여 명으로 조직개혁을 하였지만, 거대한 총회 자체의 기구개혁은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그 때문에 총회 각 부서의 방대한 업무가, 축소된 총회직원에게 그대로 이관되어 업무의 과부하로 직원들의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 총대 수 축소는 총회 자체의 개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셋째, 정책적 추진력을 강화하는 총회를 기대할 수 있다. 정책의 전문성이 높은 총회가 되기 위해서는 거대 총대보다는 작으나 전문성이 강화된 총대가 더 필요하다. 거대총대는 정책 참여자를 전문성보다는 나눠 먹기식으로 안배하는 경향이 강하다. 예컨대 각 부서회의시 부서별로 100여 명 이상이 모여서 실행위원을 총회 내 5개 지역 내에서 15명을 안배하여 선출한다. 나머지 부원 및 위원들은 총회정책에 있어서 전혀 무관한 사람이 되어버린다. 총대 수의 축소와 함께 전문성 있는 총대들을 보다 더 많이 확보한다면 총회정책은 추진력이 강화될 것이다.

넷째, 부정부패를 예방하는 총회를 기대할 수 있다. 거대총대를 상대로 각종 선거를 치러야 하는 현시점에서 고비용 선거로 인한 부정부패 현상이 종종 나타난다. 부총회장의 선거뿐만 아니라 상비부장 및 위원장 선거운동 시 거대조직의 총대를 대상으로 한 비정상적인 과열된 선거운동으로 대립하고 가끔 일탈 현상을 일으키곤 한다. 지역 간 대립과 지역주의의 대두 등은 결국 총회 발전에 있어서 큰 장애요인이 된다. 그 예방을 위해 선거 제도의 보완도 중요하지만 총대 수의 축소가 더 우선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비대하여 뒤뚱거리는 조직보다는 스마트한 조직이 부정부패를 예방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선진 총회를 향한 첩경인 총회 총대 수 축소는 더 이상 미룰 수 없이 조속히 관철해야 할 시대적 요청이고 책무이다. 그러나 총대 수 축소를 위한 삼권 분립이 되어있지 않은 현실 속에서 총대 1500명이 총대 축소를 자체적으로 개혁하기가 심이 어렵기 때문에 늘 공회전하고 실패만 거듭한다. 이제는 총대 축소를 위한 법리적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바탕 위에 총대 이외의 전체 노회원까지 뜻을 규합시킬 수 있는 폭 넓은 새로운 전략이 세워져야 한다. 그리고 총대 수의 단계별 축소 전략, 나아가 큰 노회와 작은 노회의 노회별 총대 수 배정의 재고, 그 밖에 총대 횟수의 상한제 등 총대 수 축소를 위해 가능한 정책적인 모든 방안을 심도 있게 마련해야 한다. 이는 코로나19 이후에 총체적 위기에 빠진 한국교회를 선도하는 건강한 총회가 되고, 재정적으로 어려운 교회와 노회에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총회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총대 수의 축소가 보다 더 혁신적인 선진 총회로 나아가는 첩경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영균 목사(경주제삼교회, 제102회 총회 정책기획기구개혁위원장)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