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지사 김태연 선생, 100년 만에 고국으로

이경남 기자 knlee@pckworld.com
2019년 04월 01일(월) 12:52
김태연 지사.
왼쪽부터 고승원 숭실대 대외협력실장, 이동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하이협의회 회장 ,우제원 숭실대 총학생회장, 최영삼 상하이총영사, 조관길 유족, 박상윤 상해한국상회(한국인회) 회장, 배제진 흥사단 상해지부장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하이협의회 수석부회장, 원장석 상해한국상회 수석부회장.
숭실대학교(총장:황준성)가 지난 3월 28일 중국 상하이 창닝구 외국인 공동묘지인 만국공묘에서 국가보훈처가 주관하는 김태연 애국지사의 파묘행사에 대표단을 파견했다. 이번 파묘행사에는 학교를 대표해 대외협력실장, 총학생회장, 그리고 취재진으로 학생기자가 참석했다.

1992년 한중 수교가 이뤄지면서 김태연 지사와 함께 만국공묘에 묻혔던 임시정부 2대 대통령 박은식 선생과 신규식 노백린 김인전 안태국 윤현진 오영선 지사 등의 유해가 한국으로 옮겨졌지만 김 지사가 이곳에 묻혀 있다는 사실은 뒤늦게 확인됐다.

숭실대 동문인 김태연 애국지사는 1891년 황해도 장연 출생으로 재학시절 문학부가(교가)를 작사하기도 하였으며 1917년 숭실대 8회로 졸업했다. 김 지사는 3·1 운동이 일어난 해인 1919년 5월 상하이로 망명해 열정적으로 독립운동을 펼쳤지만 만 30세이던 1921년 병으로 짧은 생을 마감했다. 빼앗긴 조국을 되찾겠다는 일념으로 아내와 네 딸을 고향에 남겨두고 상하이로 망명해 조국을 떠난 지 100여 년 만에 귀국하게 됐다.

김 지사는 몽양 여운형 등과 함께 상해대한인거류민단을 조직해 한인들의 자치 활동을 이끌었으며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했고, 이듬해인 1920년에는 구국모험단 참모부장을 맡아 군자금 모집, 폭탄 등 무기 구입, 일본 관청 파괴 및 일본 관리 암살 등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상해의 한인 자녀들의 교육 기관인 인성학교의 교장을 맡아 동포들을 위한 교육 사업에도 나서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적인 애국 활동을 벌였다.

황준성 총장은 "숭실대는 한국최초의 기독교 민족대학으로 현재까지 84명의 독립유공자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도 숭실 출신의 독립 운동가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일제의 국권침탈에 항거함으로써 민족자존의 기치를 세운 선배들의 희생정신과 애국심을 기릴 것"이라며 "숭실대는 김태연 지사의 뜻을 계승하여 남북이 하나 되는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교육으로 기여하는 통일선도대학으로 앞장 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남 기자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