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지속가능한 농업협력 방안 모색해야

북한 농업실태와 남북 협력 방향 주제 세미나 열려

최은숙 기자 ches@pckworld.com
2019년 03월 06일(수) 11:32
북한농업협력은 지속가능한 농업이 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것이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전반적으로 식량 수급이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드러났지만 식량배급제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간, 계층간 영양불균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총회 농어촌선교부(부장:천정명 총무:백명기) 산하 북한농업개발협력선교후원회는 지난 2월 28일 '북한 농업실태와 남북 협력 방향'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열고 남북의 농업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강연을 맡은 권태진 박사(북한·동북아연구원 원장)는 "탈북자 조사 결과 80% 정도의 주민은 1일 3끼 식사를 하고 있지만 하루 1-2끼 식사에 머무는 주민의 비율이 20%"라고 밝히면서 "그러나 영양소 균형이나 식품의 질은 만족스럽지 못하고 무엇보다 어린이 노약자 여성 등 취약계층의 식량사정이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식량배급제도는 열량만 고려할 뿐 영양소나 식품에 대한 개인의 기호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섭취하는 식품의 절대량이 세계보건기구가 설정한 칼로리에 미달한다"면서 "특히 시장을 통한 식품구입이 배급제도를 대체하면서 취약계층이나 시장에 익숙치 못한 계층은 식량 이용권에 제약이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지난 2003년 종합시장 등장 이후 주민 자력으로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게 함으로써 빈부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북한은 2003년 3월 농민시장을 확대 개편함으로써 농산물만 판매하던 농민시장은 공산품을 비롯해 다양한 상품을 판매한다. 실제로 주민들이 시장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은 약 8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또 권 박사는 "북한에서는 농업 기계화를 통해 기계화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면서 향후 남북 농업협력에 대해 "과거의 프로젝트 방식에서 벗어나 프로그램 방식의 협력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농업이 지속가능한 농업이 되도록 협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권 박사는 "단기적으로는 북한이 추진하고 있는 국가경제발전 5개년전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남북한 농기계 공동개발을 통해 북한의 농업기계화를 지원하는 한편 개도국 대상 수출형 농기계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최은숙 기자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