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수당, 교회 청년정책에 대한 자극제

[ 기고 ]

남기평 총무
2016년 09월 06일(화) 14:06

지난 8월초 서울시는 3000명이 안 되는 청년들에게 실업위로금을 '청년수당'이라는 명목으로 전격 지급했다. 청년수당에 관련된 여러 논평들이 쏟아져 나왔고, 찬반을 넘어 청년들의 현실을 다시금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이 정책을 실시하기 전부터, 복지부와의 내홍을 겪었고 이 가운데서도 서울시는 기습적으로 청년들에게 지급했다. 이를 복지부는 직권취소를 한 상태로 현재 실시 한 달 만에 지급이 중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 청년수당지급여부는 대법원판단에 따라 여부가 달려있다. 이와 비슷한 사례에 이번 해 초, 성남시 '청년배당'에서 비슷한 여론의 찬반양상과 여러 우려들을 피력했다.

먼저 청년 실업률은 12.5%(2016.2월 기준)였다. 애초에 실업률을 산출할 때 일용직과 시간제 근로를 제외한 것이니, 실질 실업률은 20%이상으로 봐야 할 것이다. 이에 적용하면 구직활동 중인 청년들이 약 128만 명이다.

대학생과 이 청년들을 합산하면 내 주변에 청년 2명 중 1명은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사실상 백수일 가능성이 크다. 만약 취직이 된다 치더라도, 노동의 질과 실질임금은 현저히 떨어져 있어서, 청년 중위 소득은 130만원 안팎이니 미래의 비전을 세우고 앞날을 도모할 형편은 되지 않는다.

왜 이렇게 구구절절히 청년인구와 실업률을 설명한 이유는, 이 현실이 오늘날 기독청년들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교회의 인구피라미드는 역삼각형이 된 지 오래이고, 중고청년들의 인원감소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교회 내 청년부 인원을 총 교인의 5~10%로 본다. 그러니 청년들의 오랜 실업과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은 관심만 있으면 흔히 목도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래서 요즘 부모님들의 자녀기도제목은 언제나 1순위는 취업이다. 그 취업도 정규직 취업일게다. 생각해 보면 청년들의 구직을 위해서, 교회는 아무런 실질적 대책이 없다. 정부도 2조 이상의 천문학적인 액수를 퍼붓지만 청년들의 피부에 와닿지 않는다. 다시 교회를 살펴보면 교회의 장래는 청년들에게 달려있음은 자명한 사실인데, 교회의 미래를 위해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아동부부터 청년부까지 편성예산이나 정책집중도를 정확하게 따져봐야겠지만 이를 알면 알수록 교회의 미래는 암담하기 그지없다.

기독청년은 현재의 지도력이기도 하다. 이들은 실질적인 교회봉사를 할 수 있다. 사회내에 청년들 또한 실질적 노동인구이기도 하다. 교회든 사회든 이들이 살맛나고, 재미있는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플러스 알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교회 내 한명의 교회학교 교사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교사교육부터 여러 가지 교양과 신앙생활이 필요하듯 한 사회에 좋은 노동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지원과 시스템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청년수당은 일종의 청년들을 위한 이 시대의 배려이다. 배려는 무조건적인 기다림이 아니다.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바울의 설교를 듣기 위해서, 위층에 많은 이들이 몰려들었다. 한 청년은 결국 자리를 잡지 못하고, 창가에서 졸다가 떨어져서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 즉시 바울은 내려가 살리고, 그 청년가 밤새도록 이야기하고 그 청년은 위로를 받고 집으로 갔다.

창가에 졸아서 떨어진 청년들은 오늘날 청년들을 빗대어 말하는 것 같다. 여러 경쟁과 성공해야 된다는 압박감에 시달려 실패는 곧 낙오를 의미하는 현재의 청년들에게 청년수당은 사회가 주는 기회이고 위로이며, 어느 정도의 실패를 용인하는 아량 넓은 사회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미래의 투자가 아닌 현재의 투자이다. 청년수당은 교회의 청년정책에 자극제 혹은 바로미터가 되어야 하겠다.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