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회 재정 운영, '생산성', '효율성' 따져봐야

[ 교단 ] 2.재정 운영 현황

임성국 기자 limsk@pckworld.com
2016년 06월 14일(화) 17:24

최근 기독청년을 포함한 다음세대의 급감, 한국교회를 향한 사회의 비판이 더해지면서 향후 교회의 재정 위기론은 더욱 부각될 조짐이다. 특히 우리 경제의 경기 변동과 교회 내 사건 사고, 분열과 대립 등의 악영향은 한국교회의 총체적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재정적인 측면에서도 그리 밝지 않은 전망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다. 

결국 미래의 경제위기, 한국교회의 내부 상황은 헌금이 감소할 주된 원인이 되는 반면에 세출예산은 꾸준히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구조가 지속되면서 교회의 건전한 재정관리의 어려움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더욱이 상회비와 총회헌금, 후원금 운영의 재정 시스템을 갖춘 총회는 미래에 큰 어려움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총회가 '재정 투명화'와 '효율적 운영'에 집중하면서 건강한 재정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은 대안으로 꼽히지만 분명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총회의 재정 운영 현황.
 전국 교회, 성도들의 후원과 기도로 현재 총회 재정은 제법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제99회기 총회 행정지원본부를 비롯해 각 부서의 결산 총액은 86억 5616만원이다. 이중 행정지원본부 67억 7717만원, 교육자원부 5억 4874만원, 국내선교부 3억 663만원, 군경교정선교부 2억 9000만원 등이 포함됐다.
 또 지난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99회기 총회(주일)헌금은 총 12억 1922만원으로 나타났다. 애초 목표액 15억원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지역 교회의 참여 수가 늘어 정책 사업의 안정성을 위한 교회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것으로 평가됐다. 모금된 헌금은 각 부서의 정책사업, 노회 행정비, 선교사업 지원비 등 15개 부서 및 사업에 전액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99회기에는 전체 노회가 총회 상회비로 34억 8037만원을 납입했다. 상회비 책정액 44억 2991만원 중 미납액이 9억 4953만원, 대략 20%에 달해 총회는 허리띠를 단단히 조여 매며 효율적 운영에 오매불망이다. 이외에도 선교헌금 5억 8877만원, 출판선교헌금 4억 1807만원, 회관선교헌금 1억 7069만원, 등록금 1억 608만원, 기타수입 4억 1509만원 등을 포함해 총 21억 8006만원의 세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재정은 총회 정책사업, 법리행정 지원, 인건비, 운영비를 포함한 총회 전반에 걸쳐 적재적소에 지출되고 있다. 하지만 한 회기 대략 5~6억원 가량이 부서 회의비로 지출되고 있어 효율적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는 총회의 재정 운영에 대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지적을 하곤 한다.
 
 #총회 상회비 삭감 요청(?)
 우려는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제주노회를 비롯해 일부 노회가 오는 제101회 총회에 총회 상회비 삭감을 연구하도록 헌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노회의 총회비 삭감 요구는 교회의 재정 위기론이 수면위로 부상하면서 한발 앞서 대응책을 마련하려는 교회와 노회의 발 빠르고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볼 수 있다. 또 총회의 재정 안정성 마련을 위한 장기적인 대안 마련이 조속히, 그리고 전면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뼈아픈 주장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섣부른 상회비 삭감은 별다른 수입 구조가 없는 총회 재정에 적신호를 켜는 직접적인 발단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외부 환경과 한국교회의 변화에 발맞춰 장기적이고 계획적인 긴축 재정 로드맵을 마련해야 할 총회로서는 난감하고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크게는 총회 정책 사업의 위축과 역할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까지 나와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현재도 각 부서의 사업 중 10~15%는 예산 부족으로 진행되지 못해 사업축소는 불을 보듯 뻔해졌다. 결국 총회의 좋은 정책과 제안도 전국 교회와 노회의 지원 없이는 결실을 보기 어려울 수밖에 없는 당연한 상황에 다시 한 번 직면하게 됐다.
 
 #총회는 부족한 재정, 스스로 해결
 총회는 감리교를 비롯한 타 교단에 비해 수익용 재산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총회 재정 구조 또한 선교사업에 집중돼 있기에 수익 사업을 위한 시스템도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는 전국교회의 참여와 협력 없이 스스로 부족한 재정을 채우기란 역부족인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또 정책총회의 방향을 향해 걷고 있는 총회로서는 현실적이지 못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결국 총회는 부족한 재정을 해결하기에 앞서 총회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의 시스템을 갖췄는지 엄중한 잣대를 들이댈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 최초의 계획대로 교단의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총회구조의 실현을 이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외에도 우수한 정책 개발 및 사업을 통해 전국교회와 성도들이 총회를 통해 공교회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인식 전환에 더욱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