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은 UN이 정한 물의 해 / 생명의 근원, '물'을 지키자②

[ 교계 ] 생명의 근원 물을 지키자②

표현모 기자 hmpyo@pckworld.com
2013년 01월 04일(금) 16:15

지난해 3월 OECD가 발표한 '2050년 환경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물 부족 현상이 가장 심각한 나라로 분류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 가능한 수자원 중 실제 사용하는 비율이 40%를 넘어 '심각한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물 수요의 비율이 40%를 초과할 경우 분류되는 '심각한(severe) 물 스트레스 국가'는 OECD국가 중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이뿐 아니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의 기준에 따르면 주기적인 물 압박을 겪고 1인당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이 1천7백㎥미만인 국가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는데 우리나라는 리비아, 모로코, 이집트, 오만, 키프로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폴란드 등과 함께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 절약 통해 물부족 상황 극복해야

세계 1백50여개 국 중 물기근국가, 물부족국가는 총 30여개 국. 이 가운데 강수량이 많은 우리나라가 포함된 것은 약간 의외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물부족국가인 이유는 강수량이 적어서가 아니다.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1천2백mm로 세계 평균의 1.4배에 이른다.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아 국토면적당 인구로 계산하면 1인당 연강수량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인구 1인당으로 따지면 세계 평균의 1/8에 불과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양은 그리 많지 않다.
 
이렇게 1인당 연강수량이 부족한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1인당 물소비량은 2백75ℓ로 덴마크(1백14ℓ)와 영국(1백39ℓ)의 두배가 넘고, 프랑스(2백32ℓ) 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물 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여러 환경단체에서는 물을 아껴쓸 것을 홍보하고 있다. 이들 단체에서는 일반적으로 물 절약을 위해 △화장실에 대소변 구분형 절수부속 설치 혹은 물탱크 안에 벽돌이나 물병 넣어두기(4인 가족 기준 화장실에서 1일 물 사용량은 2백55ℓ, 절수부속 사용시 30% 절수 가능) △설거지 할 때 설거지통 사용하기(10분간 1백ℓ 이상의 물 절약 가능) △샤워 시간 줄이기와 절수형 샤워헤드로 바꾸기(15분간 샤워 시 1백80ℓ의 물 사용, 샤워헤드를 절수형으로 바꿀 때 40% 절수 효과) △양치질할 때 컵 사용하기(30초간 양치할 때 물의 양 6ℓ, 컵 사용시 0.6ℓ 물 사용(70% 절수효과)) △빨래할 때 한번에 모아서 세탁하기, 세탁 수위에 맞게 물 조정하기 등의 실제적인 방법 등을 홍보하고 있다.

# 물절약 위해 생활방식 자체를 바꿔야

일각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물 절약을 실천하는 것뿐 아니라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삶의 여러 분야에서도 생활방식을 바꿔나감으로써 물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른바 '가상수(virtual water)'라는 개념이 사용되는데 물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자는 것이다.
 
'가상수'란 식품과 제품이 생산되어 유통을 거쳐 소비될 때까지 들어가는 물의 총량을 의미하는 단어로, 물 문제에 관한 세계적인 권위자 런던 킹스칼리지대학교 교수 토니 앨런(TONY ALLAN)에 의해 물소비에 대한 새로운 개념으로 소개된 바 있다.
 
토니 앨런에 따르면, 인간이 생활하는 데 들어가는 가상수의 양은 상상 이상으로 많은데, 예를 들면, 커피 한 잔을 만드는 데 1백40ℓ의 물이 들어가고, 햄버거 한 개에는 2천4백ℓ, 청바지 한 벌에는 1만1천ℓ가 필요하다는 것. 또한, 그는 커피와 토스트, 베이컨과 달걀, 우유, 과일로 간단한 서구식 아침 식단을 차리는 데 들어가는 물은 욕조 3개 분량에 달한다고 지적한다. 음식에서부터 옷과 컴퓨터까지 우리가 구매하는 모든 제품들을 가상수 개념으로 생각하면 우리는 매일 엄청난 양의 물을 소비하고 있는 셈이다.
 
토니 앨런 교수는 식품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 양이 절대적으로 많고, 육식을 위한 가축을 기르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 채소를 키우는 데 드는 물의 양보다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채식을 하는 것이 변기 물탱크에 벽돌을 넣어 절약하는 것보다 몇 배에 해당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물 부족 해소를 위해 댐 건설이나 지하수 개발과 같은 물 공급 정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찬반이 분분하다. 현재 정부나 관련 기업에서는 4대강 사업을 비롯해 적극적인 수자원 개발을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지만 반면, 환경 보호론자들은 대형 댐 건설 같은 환경 파괴적인 물 공급 정책보다는 수요를 억제하고 물을 절약하는 방법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어떤 방법이 옳은 지는 주관적 판단에 따라 다르겠지만 변하지 않는 사실은 물 자원은 대체불가능한 가장 중요한 자원이며, 우리가 소중하게 다뤄야 할 자원이라는 점이다.



물도 시장논리에 좌지우지 된다면?
시민단체들, 정부와 기업의 상수도 민영화에 반대 목소리 높아
 
최근 충남 홍성군에서는 주민들이 군청과 갈등을 빚고 있다. 상수도 민영화를 둘러싼 갈등이다.
 
홍성군이 예산 인력 기술 등이 부족해 전문기관의 위탁관리를 하려고 한다며 상수도 시설 민영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에 주민들이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선 것.
 
홍성군 상수도 민영화 반대 대책위 준비위원회는 "상수도를 위탁운영 중인 논산시의 경우 올해 8월 1일부터 요금을 15% 인상하는 등 요금 폭탄이 발생하고 있다"며, "물을 이윤 창출의 도구로 보는 것을 거부하고, 주민의 혈세를 가로채서 수자원공사만 배불리는 상수도 위탁운영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저지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최근 일부 지자체별로 상하수도 시설의 민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변칙적인 방법으로 민영화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물 민영화가 아니라 민간위탁(참여)을 추진 중이라고 하는데 전문가들은 이 두 가지가 본질상 다를게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물을 민영화할 때 우려되는 것은 물이라는 대체불가능한 자원에 대해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이를 장악하고 가격을 좌지우지 하게 되면 그 피해는 일반 시민, 특히 이를 감당할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는 점이다.
 
해외의 사례를 보면, 물 민영화를 추진한 영국에서는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상수도 파이프 교체비용을 누가 될 것인가를 두고 기업과 정부, 시민들이 갈등을 겪고 있고, 볼리비아의 경우는 지역별로 35%~3백% 정도 인상된 수도세에 반발한 시민들 때문에 계엄령까지 내려진 바 있다.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