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핵과 한국경제

[ 이강근의 중동이야기 ]

이강근목사 webmaster@pckworld.com
2012년 03월 20일(화) 17:42

지난 2월 16일 한국과 이란의 수교 50주년 기념하며 열린 공연인 "인천-페르시안을 만나다"가 성황리에 마쳤다. 최근 이란의 핵문제로 국제사회에서 큰 이목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의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이 진행된 것이었다. '정치와 문화는 별개다'라며 현실의 부정적인 분위기를 애써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역력하다. 그러고 보면 이란이나 한국 양국이 이란과의 원만한 관계를 꽤나 바라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이란의 핵문제를 부각시키면서 세계 여론을 주도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자국의 중동 패권주의와 11월 미 대선을 앞두고 미국은 모든 외교력을 동원해 이란 핵개발 저지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포괄적 이란제재 법안'을 발동해 세계를 경영하는 미국 경제와 금융의 힘을 활용해 이란을 완전 고립시키려는 의도다.
 
문제는 미국 주도의 대 이란 제재에 동참한 나라들 중에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나라가 바로 한국과 일본이다. 두 나라 모두 이란에 대한 석유 의존도가 높고 대 이란 수출이 결코 작지 않다. 우리나라는 이미 정부의 사전허가 없이 이란과 금융거래를 금지하고 이란 혁명수비대와 이란 국영해운회사, 멜라트은행을 비롯한 1백2개 단체와 24명의 개인을 지정해 금융제한 및 입국을 금지하기로 했다. 그리고 추가 제재에 동참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란은 중동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과 교역을 한 국가이다. 1962년 10월 외교관계를 수립한 후 1967년 4월 주이란 한국대사관이 설치되어 서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이란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대유엔정책을 지지해 주고 있다. 1973년 10월 석유파동 이후 급격히 늘어난 석유 수입과 교역 및 건설인력 등 양국 간 협력관계가 급진전하면서 지난 1975년에 주한 이란대사관이 설치됐다.
 
1970년대에 이란의 각종 건설공사에 진출한 노동인력만 2만여 명이나 되었다. 당시 한국의 경제성장에 이란이 큰 기여를 했다. 1988년 6월에 이란 내 우리 건설현장에 이라크가 폭격하여 한국인 13명이 사망하고 수십명이 부상당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우리와 이란과의 관계는 변함이 없었다. 1999년 이후 한국은 이란이 2대 교역국으로 자리를 잡았고, 이란에게도 한국은 3대 원유공급국가로 상호 의존도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서울 강남에 '테헤란로'가 있고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도 역시 '서울로'가 있다. 1977년 6월에 이란의 테헤란 시장이 서울을 방문해 테헤란과 자매결연을 맺고 그 상징으로 서로의 수도이름을 딴 거리를 만든 것이다. 2002년 한국과 이란 수교 40주년 때에는 테헤란에 서울공원이 만들어졌다. 한국이나 이란에 다른 나라의 이름을 딴 거리나 공원이 만들어진 경우가 많지 않은 점에서 한국과 이란의 특별한 관계를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란은 막대한 자원과 풍부한 노동력을 가진 나라다. 이란은 원유매장량 세계 2위, 천연가스매장량 세계 2위이다. 이외에서도 아연매장량 세계 1위, 구리매장량 세계 2위, 그리고 철광석 세계 9위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는 나라가 이란이다. 이란의 인적자원은 약 7천5백만명이 넘어 중동에서는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이 큰 시장을 놓고 한국의 교역 가능성 뿐만 아니라 특히 석유자원이 전혀없는 한국에게 이란은 정말 자원외교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나라이다. 2009년 한국과 이란의 교역규모는 약 1백억 달러에 이르고 국내 대기업 25개와 중소기업 2천여 개가 진출해 있다.
 
맹방인 미국의 요구와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이란의 핵개발로 인해 이란 제재에 동참하는 우리 한국정부의 정책은 그동안 이렇게 쌓아놓은 한국과 이란의 교역을 감안하면 결코 쉽지 않은 결단이다. 그에 따른 피해도 우리의 피부에 와 닿을 것이다. 이것이 이란의 핵문제로 대두되는 우리 경제의 현실이다.

 
이강근목사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