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된 이집트 민주화시위 민주화 가져올 수 있나

[ 이강근의 중동이야기 ]

이강근목사
2011년 11월 28일(월) 17:28
지난 11월 19일부터 현재의 이집트를 이끌고 있는 군부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발생했다. 지난 1월 이집트에서 일어난 시위로 무바라크 대통령을 퇴진 시킨 이후 10여개월 만에 이집트에 다시 한번 민주화시위가 일어났다. 반 군부 시위는 타흐리르 광장뿐 아니라 제2의 도시 알렉산드리아, 운하도시 수에즈 등 이집트 전역으로 확산된 상태다. 군부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대와 이를 저지하는 군인ㆍ경찰의 충돌로 발생 10여일만에 벌써 40여명이 숨지고 6천여명 이상이 부상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도 '민주화 시위 발발→강경 진압→유혈 사태 발생→시위 확산' 등 무바라크를 권좌에서 물러나게 했을 때와 비슷한 과정을 밟고 있다.
 
시위의 목표는 군부종식이다. 지난 1월 이집트의 민주화 직후 군부는 오직 국민의 뜻에 따라 민주적인 정부를 만드는 것이었다. 군도 권력장악의도는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당초 7월로 예정된 총선을 11월로 연기했고, 다시 내년으로 연기했다. 시위발생은 11월 초 군부가 발표한 '신헌법 기본원칙'에 군부가 민간정부 수립 후에도 정부 및 국회의 관리ㆍ감독권한을 넣었고, 차기 총선에 무바라크 독재정권 인사들도 참여할 수 있게 결정에 기인했다. 군부가 독재정권세력을 뿌리뽑고 민주사회를 열망하는 이집트 국민을 배신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다급해진 군부는 재발된 유혈사태를 타개하고자 지난 28일 예정대로 총선을 치르고 2013년 초 대통령 선거를 실시한다는 계획은 포기하고 내년 6월로 대선도 앞당겼다. 임시내각 사퇴와 새 총리도 임명했다. 그러나 새총리는 1990년대 후반 총리를 지낸 인물로 재임시절 국민들에게 '가난한 사람들의 총리'라는 좋은 평판에도 무바라크 전 대통령 밑에서 총리를 지낸 경력으로 국민들은 환영하지 않고 있다. 이집트 국민은 독재정권과 완전한 단절 그리고 현 군부을 즉각 끝내고 민간정부로 이양하라며 '군부가 퇴진할 때까지 백만인 시위'를 가속화 하고 있다.
 
그러나 이집트의 미래는 쉽지 않아 보인다. 민주화 혁명을 통해서 나타난 무슬림형제단이 창당한 '자유정의당'이 이번 총선에서 전체의 50% 이상 의석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 무바라크 독재정권 퇴진 이후 드러난 무슬렘의 정치력이 전면에 나서고 있다. 더욱이 이슬람정권이 득세하면 이집트 내에 콥틱 기독교인들의 지위가 더욱 위험에 빠질 것으로 본다. 또한 이슬람정권의 등장은 이스라엘과의 관계을 긴장시켜 중동평화를 더욱 불안하게 하고 있다.
 
이집트는 1979년 아랍국가 가운데 처음으로 이스라엘과 평화조약을 맺었었다. 이 조약으로 이집트는 다른 아랍국가로부터 정치ㆍ경제적 제재를 감수해야 했고,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인 이란 정부와도 1980년대 이후 껄끄러운 관계를 유지해 왔다. 세계 7대 불가사의 중에 하나인 피라미드가 있는 이집트. 애굽의 나일문명이라는 거대한 역사를 탄생시키고도 이슬람에 정복당해 인구의 94%가 이슬람이다. 현대 이집트인들은 언어도 옛 애굽어를 잃고 아랍어를 사용하면서 그 정체성마저 잃은 바로의 후예들이다. 오히려 고대 이집트의 언어와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채 6%가 채 안되는 콥틱기독교인들이 고대 이집트의 정체성에 더 가깝다. 이러한 이집트가 30년 철권 독재지도자 무바라크를 끌어내리고 다시 타오른 시민혁명이 어디로 흐를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강근목사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