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명수목사 / 순천남ㆍ은성교회

[ 제94회 총회 부총회장 후보 profile ] 제 94회 총회 부총회장 후보들 질의 응답 II

한국기독공보 webmaster@pckworld.com
2009년 08월 25일(화) 18:00

6. 현재 항존직의 정년을 현 70세에서 75세로 연장하는 안과 총회 직영 신학대학교 총장 연령을 현 65세에서 70세로 연장하는 안 등 두 가지의 헌의안이 상정돼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입장을 말씀해 주십시오.

 대단히 민감한 사안으로 후보자의 입장에서는 답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문제이다. 본인의 견해가 있다고 하여도 주제 넘게 미리 말하는 것도 비례(非禮)라는 생각이 앞선다. 두 안이 다 안건으로 상정돼 있으니 총회에서 회원상호간에 찬반대체 토론을 거쳐 중의에 따라 결정할 문제라 생각한다. 마음을 비우고 성령님의 도우심을 구하면서 다뤄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7. 해마다 8백여 명의 목회자 후보생들이 배출되고 있고 또 7개로 나누어 운영되고 있는 총회 직영 신학대학원에 대해 공통된 정체성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후보의 입장을 말씀해 주십시오.

 이 문제에 대하여는 전문 부서인 신학교육부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이다. 이미 다섯 가지 안이 심의 중에 있고, 그 중에서 가장 쉬운 문제인 기수 통일안을 안건으로 상정했다고 들었다. 7개 장신대학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다. 각 대학들은 살리되 인원조정문제는 신학교육부에서 철저히 조정하여 공급과잉현상은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6월 17일 제2회 총회산하 신대원통합수련회가 7개 신학대학교 1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소집된 걸로 안다. 작은 것이지만 앞으로 더욱 이러한 모임을 발전시키고 체계화한다면 신학대학간 교류와 일치를 이루는 좋은 단초가 되리라 보며, 지난 88회 총회에 상정되었던 '하나의 신학대학교를 위한 정책안'을 더욱 연구하고 이 원칙을 가지고 직영신학교 3학년 통합교육, 목회자 후보생 인턴십 과정 등을 실행해 간다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고 본다. 목회자 수급의 건은 신학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조절해 나가야 하고 또한 단순히 공급 과잉만을 탓할 것이 아니라 각 교회가 전도와 선교에 박차를 가한다면 이 문제는 자연적으로 해소되리라 생각한다.


8. 진보와 보수 간의 갈등으로 사회가 양분화 되고 또 소통이 부재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교회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십자가가 대안이다. 십자가의 정신은 상생과 화합이다. 예수님께서 원수된 것을 십자가로 소멸시키시고 하나되게 하셨기 때문이다.(엡2:16) 그러므로 '나의 생각과 다르면 무조건 틀리다'라는 흑백 논리에서 벗어나 '다름'을 인정하고 '다름'이 곧 '틀림'은 아니라는 열린 마음을 갖고 서로가 서로를 수용하는 자세를 갖게되면 소통은 자연히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9. 최근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청년실업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먼저 기독교인 기업이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식이 있어야 하고 근로자도 일자리 나눔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교회는 그 구성원 가운데 노동력 공급자와 수요자를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교회는 '청년고용지원센터'를 개설하여 교인 기업과 개인을 연계시킴으로써 청년실업구제에 나서야 한다. 또한 교회연합체를 통하여 이를 확대해 나가면 청년실업 해소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10. 최근 핵 문제 등으로 대북 관계가 악화돼 있습니다. 대북관계 개선을 위해 한국 교회가 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핵문제가 남아 있는 한 북한은 우리의 위협의 대상인 것은 사실이다. 핵 카드만을 이용해 외교적, 경제적 이득을 얻어내려는 모험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북한은 알아야 한다. 핵문제가 있기는 하나 북한은 공존해야하는 민족의 일원임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회는 인도적인 면에서 지원을 계속해야 한다. 동서독의 장벽이 무너진 것은 서독교회가 조건을 초월하여 동독을 사랑으로 섬겼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북한 교회의 재건운동, 농업기술지원, 새터민 돕기등 이제껏 해왔던 사업들을 더욱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해야할 것이다. 또한 먼 안목에서 통일 이후를 대비하여 북한선교연구와 북한 전문가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 기사는 한국기독공보 홈페이지(http://www.pckworld.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